수업 스케치
[단원명] : 근현대 문학 - 원고지
[총 차시] : 2차시
[성취기준]
- 한국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문학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계를 탐구한다.
[학습목표]
- 작품의 주요 소재의 의미 및 표현상 특징 이해하기, 작품에서 비판하고 있는 상황을 바탕으로 우리의 삶의 모습 생각해보기
[교수·학습 모형]
강의형 | 협동학습 | 토론&토의 | 하브루타 | PBL&프로젝트 | 활동중심 | 기타 |
지문 설명 | 교육연극 | 질문지 |
[수업 포인트]
- 희곡이기에 역할을 정해서 읽어보는 기회 만들기, 주요 소재의 의미나 상황에 대해 아이들이 토의하는 기회 만들기, 짧게나마 '우리를 억압하는 상황'을 주제로 한 교육 연극 진행해보기
[수업 흐름도]
1차시
1. 작가, 줄거리 영상 소개, 등장인물 역할 분담하기(자원이 있으면 자원 먼저 받기, 처음에는 제비뽑기, 그 다음은 자신과 대사를 많이 주고 받는 상대 역할 친구 고르기로 역할 분담하기)
2. 역할 분담하여 작품 읽기
3. 질문지(인물의 성격, 주제와 관련된 작품 소재, 상황, 대사에 대한 의미 파악) 개별 작성, 모둠별 질문지 토의 진행
2차시
1. 질문지 토의 마무리(개별로 작성한 답에 대한 의견 공유)
2. 질문지 내용을 바탕으로 표현상 특징을 비롯한 작품의 주요 내용 설명
3. 교수와 같이 현재 우리를 억압하고 있는 상황이나 억압당하는 욕구가 있다면? 그 떄의 나의 감정과 느낌을 솔직하게 작성해보기
4. 생각 공유 - 앞에서 작성한 내용을 모둠에서 공유하기
5. 모둠별로 하나의 상황을 정해 1분 내외의 짧은 연극 장면 연출하기, 모든 사람이 배역이 있어야 함(배경이라도), 짧은 대사 가능
6. 모둠별로 나와서 보여주기, 어떤 상황인지 맞춰보기
[수업 일지]
- 긴 글을 읽을 때 소리내서 같이 읽기 보다는 질문지를 만들어서 개별적으로 읽기를 진행하는데 희곡이라 다함께 읽기 진행, 연극에 관심있는 학생들이 반별로 한 명씩은 있어 중간중간에 웃음을 유발하는 상황들로 분위기가 좋았음.
- 작품의 상황이나 대사에 대해 정리하는 활동에서도 다른 친구들과 그 의미를 공유하는 활동에 참여도가 높았음. 원고지의 경우, 풍자나 반어 표현, 이면에 담긴 의미를 파악해야 하는 대사들이 있어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는 활동이 의미가 있었음.
- 교육연극의 경우, 진도가 일찍 끝난 반만 진행했는데 정지 동작 정도로 하려고 했는데, 알아서 간단한 대사를 추가해서 연극을 구상했고 처음해보는 활동치고 아이들이 개그 욕심이 많아져 재미있는 활동이 됨. 시험 기간이라 그런지 시험 공부에 대한 압박감이 드러나는 상황들이 많았음.
[기타 참고활동]
-
'달인* > 고2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 소설] 광장(근현대 문학) - 줄거리 빙고, 토의 (0) | 2021.10.13 |
---|---|
[고전 소설] 황진이(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 영상 활용 (0) | 2021.10.13 |
[고전 시가] 제가야산독서당(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 이미지 카드, 피라미드 퀴즈 (0) | 2021.10.12 |
[현대 소설] 스노우맨(문학 활동의 이해) - 줄거리 질문지, 결말 재창작 (0) | 2021.10.12 |
[현대 소설] 차마설, 서울 1964년 겨울(문학의 본질, 내용과 형식) - 질문지 토의, 소설 쟁점 토론 (0) | 2021.10.12 |